삼강오륜 장유유서 붕우유신 뜻 의미 내용 유래

반응형
반응형

삼강오륜은 유교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과 5가지의 인륜을 말한다. 중국 전한 때의 거유 동중서가 공맹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도덕이다. 오늘은 삼강오륜 장유유서 붕우유신 뜻 의미 내용 유래에 대해 알아보는 글을 써보겠다,

 

삼강오륜 뜻 의미 내용

 

삼강

부위자강 : 부모와 자식 사이에 지켜야 하는 마땅한 도리이다. 자식은 부모에게 효심을 가져야 하며 부모는 자식을 최선을 다해 돌보고 교육 시켜야 한다.

부위부강 :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하는 마땅한 도리이다. 아내는 남편과의 절개를 지켜야 하며, 남편 역시 아내를 존중하고 위해야 한다.

군위신강 : 임금과 신하 사이에 지켜야 하는 마땅한 도리이다. 신하는 임금에게 충성을 해야하며, 임금은 신하에 대한 예와 의리를 지켜야 한다.

오륜

장유유서 : 어른과 어린사람 사이에는 순서가 있어야 한다. 순서와 질서를 지키고 존중해야 올바른 사회가 형성된다.

붕우유신 :  친구와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친구끼리 서로 믿고 의지를 해야 신의가 생긴다.

부부유별 :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 남편과 아내는 서로 역할이 다르며 그것을 존중해 줘야 한다.

군신유의 :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 임금과 신하는 서로 옳은 행동과 의리가 있어야 한다.

부자유친 :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부모와 자식은 서로 사랑으로 대해야 한다.
반응형

장유유서와 붕우유신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다.

 

장유유서

 

장유유서는 한자로 길 장, 어릴 유, 차례 서 3글자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것을 해석해보면 어른과 어린 사람 사이에는 순서가 있다라는 의미가 된다. 하지만 이 뜻을 자세하게 이해하려면 어른과 어린 사람 사이에는 사회적인 순서와 질서가 있으며 그것을 올바르게 유지하여야 올바른 사회가 유지된다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이 사자성어에서 어른과 어린사람이라는 표현이다. 이것은 단순하게 나이 차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가족 간 혹은 사회적인 관계에서의 순서와 질서를 말하는 것이

장유유서 유래

장유유서는 유교 윤리 하에서 가족간의 윤리를 의미하고, 친족과 형제 간에서 생기는 서열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해 사용된다. 과거 한국 사회에서는 가족을 구성하는 인원이 열명이 넘기도 했고, 명절이 되면 정말 많은 친척들이 모였다. 이때 집안의 어른을 나이 상의 숫자로만 따지지 않고, 항렬로 따졌다. 이 것은 자신의 집안에서의 위치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장유유서 현대적 의미

오늘날 장유유서의 원래의 의미가 퇴색되어 무조건 나이가 들거나 늙은 사람을 공경하여야 하는 것처럼 왜곡, 변질이 되었지만 뜻을 정확히 알고 있으면 좋다. 기본적으로 연장자를 배려하는 것은 유교와는 무관하게 지켜야할 기본 예의이다. 하지만 자유유서의 원래 의미는 서술한 것 그 이상이다. 사회 전반적으로 결쳐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고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며 그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것이 바로 장유유서의 핵심이다. 이런 원칙은 가족 사이 뿐만 아니라 사회전체에 적용할 수 있고, 현대 사회에서도 아직 충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붕우유신

 

벗 붕, 벗 우, 있을 유, 믿을 신 네 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붕우유신 유래

중국의 대철학자 공자도 정치의 원칙을 묻는 제자 자공에게, 첫째로 경제적 안정, 둘째로 자주 국방, 셋째로 신의의 사회의 구현이지만, 이중에서 위정자나 백성들 사이에 신의가 없다면 정치나 백성도 존립할 수도 없다고 했다. 또 중국 노나라의 사상가 증자는 삼성의 하나로 믿음을 중시하여 벗과 사귀는 데 믿음이 있었는가?하며 날마다 스스로 묻고 반성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인륜의 사상은 중국 전한때의 유학자 동중서가 공자, 맹자의 교리에 바탕을 두고 삼강오상설을 논한데에서 유래되는데 중국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에서도 오랫동안 인륜의 행동기준으로 존중되어 왔다고 한다.

1797년 정조21년에 오륜행실도를 발간하여 실제로 인륜의 본을 보인 사람들의 행실을 칭송하고 도덕서로 활용했다고 한다.

또 악장가사에서도 오륜가로 실려있고 조선 중종때 유학자 주세붕 인조 때 문신 김상용 명종 때 문신 송순 선조 때 문신 박인로 황립 광해군 떄 유학자 박선자등의 문집에도 오륜을 강조한 시가가 실려 있음은 오륜이 조선시대 기본적인 실천 덕목이었음을 입증해준다고 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